728x90 부동산정책3 2025년 달라지는 부동산 정책(2) 주택청약종합저축 소득공제 1세대 1주택 스트레스 DSR 앞전에 2025년에 예정되어 있는 부동산 정책에 대하여 중도상환수수료제도와 신생아특례대출에 대하여 살펴봤는데요. 이번에는 주택 청약종합저축제도 소득공제 제도와 지방주택취득 시 1세대 1 주택 인정제도, 스트레스 DSR제도에 대하여 살펴보겠습니다. 복잡하면서도 단순하지만 그래도 알아놓으면 손해는 보지 않겠죠?? 1. 주택청약종합저축 소득공제(1) 주요 변경 내용 비교항목기존 제도2025년 변경 제도소득공제 대상연소득 7,000만 원 이하 무주택 세대주만 가능무주택 세대주 및 배우자 모두 소득공제 대상에 포함소득공제 한도연 최대 240만 원 납입액에 대해 소득공제 가능연 최대 300만 원 납입액에 대해 소득공제 가능가입 대상만 19세 이상, 무주택자만 19세 이상, 무주택자 및 특정 요건을 충족하는 1주택자.. 2024. 12. 29. 2025년 변하는 정책 달라지는 부동산 시장(1) 중도상환수수료 신생아특례대출 올해의 마지막 12월이 되고 한 해를 마무리하는 시점에서 올해를 돌아보니 정말 어려운 한 해였던 것 같습니다. 부동산으로도 우리나라 경제로도 정치로도 정말 혹한의 한 해가 지나가고 있는 것 같아요. 그러다 보니 내년에는 어떤 일이 벌어질지 궁금해지는데요. 좋은 일만 있기를 바라는 마음이네요. 그래서 2025년에는 어떤 부동산 정책으로 우리를 설레게 해줄런지 한번 알아보겠습니다. 여러 정책이 있겠지만 대표적인 것만 한번 살펴볼게요~~^^ 1. 대출 중도상환수수료 인하2025년 1월 중순부터 주택담보대출과 신용대출의 중도상환수수료가 가존 대비 절반으로 인하됩니다. 주택담보대출의 경우 약 0.6~0.7%, 신용대출은 약 0.4% 수준으로 낮아져서 대출상환 시 부담이 줄어들 것 같습니다. 항 목내 용시행.. 2024. 12. 18. 2024년 12월 부동산 이슈 뉴스 1기 신도시 재건축 그린벨트 해제 청약제도 개편 최근 우리나라 부동산 시장은 정부의 공급 확대 정책과 수요 억제 조치가 맞물리며 다양한 변화가 나타나고 있습니다. 이러한 정책으로 공급자나 수요자가 혼란은 격고 있는데요. 수도권 주요 지역은 가격 상승세가 유지되고 있지만 지방 및 외곽지역에서는 가격 하락과 거래부진이 이어지며 양극화가 심화되고 있는 듯해 보이네요. 2024년 12월 8일 기준한 부동산 이슈 뉴스에 대해 5가지 정도 알아보겠습니다. 1. 1기 신도시 재건축 본격 추진정부는 1기 신도시(분당, 일산, 평촌, 중동, 산본) 13곳을 재건축 선도지구로 지정하며 약 3만 6,000가구의 재건축을 공식화했습니다. 대표적으로 분당 샛별마을, 일산 백송마을, 평촌 꿈마을 등이 포함됩니다.정부는 이 사업의 원할한 추진을 위해 2027년 착공 및 203.. 2024. 12. 8. 이전 1 다음 728x90